전체 글 14

[캡스톤디자인] Socket.IO와 React로 실시간 채팅 구현

우리 졸업 프로젝트는 간단히 말해 p2p 환전 매칭 플랫폼이다. 외화를 구매하는 사람들에게 판매자를 추천해주고, 구매자가 자신이 마음에 드는 판매자에게 채팅을 보내는 구조를 포함한다.  채팅 기능은 웹소켓을 사용하여 구현되며, 이를 통해 실시간 메시지 송수신이 가능하다. 이번 글에서는 프론트엔드에서 채팅 메시지를 주고받는 코드를 구현한 과정을 설명해보려 한다.  우선, 웹소켓이란 무엇인가? 웹소켓은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양방향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프로토콜이다. HTTP 통신은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서버가 응답하는 방식이라,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주고받기 어렵다. 반면, 웹소켓은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의 지속적인 연결을 유지해 주기 때문에, 실시간 데이터 전송에 적합하다. 나는 실시간 채팅 기능을 구현하기..

개발/웹 2024.11.26

토스의 UX 리서치

토스 UX 리서처는 어떤 방법론을 사용할까?토스팀에서 맥락도 도메인도 너무나 다양한 문제들을 마주하는 UX 리서치팀은 어떤 리서치 방법론을 사용하는지 소개해요.toss.tech 오늘은 윗글을 보고 정리해보았다. 토스 UX 리서치?토스는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UX 리서치를 중요하게 생각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 경험을 개선한다. 또한 다양한 리서치 방법론과 팀 내 공유 문화를 바탕으로, 서비스의 질을 높이고 사용자에게 진정으로 가치 있는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토스가 사용하는 주요 리서치 방법과 분석 도구, 그리고 실제 사례와 교훈을 정리합니다. 1. UX 리서치 방법토스는 사용자가 느끼는 서비스의 장단점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여러 리서치 방법론을 활용한다. ..

기획 2024.11.19

졸업프로젝트 초반부의 고민

이번에는 최근 프로젝트를 하며 들었던 고민에 대한 글을 써보려 한다. 나는 3학년 2학기에 재학 중인데, 이번 학기에 유독 팀 프로젝트가 정말 많다. 지금은 끝났지만 동기들과 공모전에도 나갔고, 동아리 프로젝트, 학교 팀플 2개, 작은 개발 프로젝트, 그리고 졸업 프로젝트까지. 모든 프로젝트들이 중요하지만, 솔직히 말해 가장 신경 쓰이는 것은 1년이나 하는 학교 졸업 프로젝트이다. (물론 현재까지는 그리 많은 힘을 들인 것 같지 않다...) 우리 학교의 경우 졸업 프로젝트는 1년에 걸쳐 진행된다. 첫 학기는 '스타트'라고 불리고 두 번째 학기는 '그로쓰'라고 불리는데, 보통 첫 학기와 두 번째 학기 사이의 방학에 개발을 모두 진행하는 편이다. (그러나 그로쓰 학기 때 주제를 바꾸는 팀도 있다고 들었다....

기획 2024.11.05

UML에 대하여

오늘은 UML에 대해 정리하는 글을 써보려 한다. 사실 개발자들이 개발자-개발자 혹은 개발자-고객 사이의 상호작용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나 역시 소프트웨어공학 시간에서 배운 거지만, 기획자-개발자의 소통에서도 가끔 쓰이기에 시험 공부하는 겸 정리하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UML이란?UML이란 Unified Modeling Language의 약자로, 시스템 개발 과정 중 상호 간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한 표준화된 객체지향 모델링 언어이다. 종류가 무척이나 다양한데, 일부 자주 쓰이는 다이어그램 종류들에 대해 정리해보려 한다. UML의 종류1. Use Case UML 위 사진은 NextGen POS 시스의 Use Case UML이다. Use Case UML의 경우, 현..

기획 2024.10.16

책임감에 관한 딜레마

이번 글에서는 내가 오늘 겪은 책임감에 관한 딜레마에 대한 이야기를 써보려 한다. 나는 전부터 친구와의 8월 말 1박 2일 부산 여행을 계획하고 있었다. 어느덧 8월 마지막 주가 다음 주가 되었기에, 오늘부터 숙소를 알아보기 시작했다. 우리가 원래 가기로 했던 날은 금-토였다. 사실 휴가철은 이미 끝나서 8월 마지막 주 금-토면 가격이 쌀 줄 알았는데, 생각보다는 비쌌다. 그렇다.. 금-토는 몇 월이든 비수기가 아니다. 그런데 이 사실을 처음에는 간과했던 것이다. 전날인 목-금을 알아보니 금-토에 비해 훨씬 쌌다. 그러나 같이 가는 친구가 직장이 있기에 휴가를 써야 하는데, 이미 금요일 하루 휴가를 쓰고 가는 것이기에 목요일까지 휴가를 쓰게 할 순 없었다.  다른 날짜들을 더 찾아봤다. 토-일은 역시 주..

게시판 2024.08.21

AWS Route53 도메인 연결 실패 문제 기록

오늘 삽질한 AWS Route53 도메인 연결 실패 문제 기록이다.분명 호스팅 영역에 내 도메인이 잘 있고, 타입 A에 도메인과 그 값에 public IP가 잘 연결되었음에도 몇시간이 지나도 해당 도메인으로의 접근이 불가능했다. 호스팅 영역을 삭제하고 다시 만들기는 했지만 이 정도로 지연이 심할 건 아닌 것 같았다.사실 원인은 단 하나뿐일 수밖에 없었다.  우선 내가 쓰는 계정은 개인 계정이 아니라 팀 계정인데, 팀 계정을 옮기면서 전 계정에서 도메인을 이전받았다.   도메인을 다른 AWS 계정으로 이전 - Amazon Route 53도메인을 이전하려는 계정과 도메인을 이전하려는 계정을 모두 소유하고 있지 않은 경우 기존 호스팅 영역을 도메인을 이전하려는 AWS 계정으로 마이그레이션하거나 소유한 AWS ..

AWS - 사이트에 연결할 수 없음/ 80번 포트 실행 안되는 에러 해결

생애 첫 배포를 진행하며 오랜 시간동안 삽질한 문제 해결에 대한 글이다. 사실 이게 답인지 모르겠지만 어쨌든 해결이 됐으니 기록용으로 써본다. 내가 직면한 문제사이트에 연결할 수 없음... 나는 분명 배포 과정에서 하라는 대로 다 했다. 우선 client가 잘 build 되었다.(이것도 사실 꽤 오랫동안 실패했는데 내 경우에는 JavaScript heap out of memory 문제였다. 메모리가 없어서 build가 안되는 상황! swap memory 추가하고 이것저것 해보았지만 다 실패. 결국 aws에서 메모리 큰 인스턴스 유형으로 새로 만들었더니 됐다.) 그리고 server에서 pm2도 잘 돌아가는 걸 확인했는데, public IP를 주소창에 치면 연결을 거부했다고 하는 거다. 이 문제를 구글링했을..

프로젝트 후반부를 달리며

나는 IT 연합동아리에서 중간 지점 찾기 프로젝트를 하고 있다. 우리 프로젝트는 기획 2명, 디자인 1명, 프론트 2명, 백엔드 2명으로 구성되어있으며, 나는 그 중 기획을 맡고 있다. 3월부터 현재까지 진행하고 있는 이 프로젝트에서 내가 직면한 문제들, 그리고 고민들은 정말 많았다. 데모데이 이후 더 자세하게 회고록을 작성할 것 같으니, 이번 글에서는 주요 고민과 해결에 대해 다뤄보겠다. 1. 플로우 그리고 기획우선 우리 프로젝트는 플로우가 상당히 어렵고 길다. 중간지점찾기 프로젝트면 중간지점 찾기만 하면 되는데 왜 어렵냐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을지 모르겠다. 물론 중간지점 찾기가 우리의 메인 기능이다. 그런데 우리는 중간 지점 결과를 바탕으로 장소 투표를 하게 하는 기능도 있고, 만날 시간을 투표하는..

기획 2024.08.12

우아한기술블로그를 읽고

이번 글은 서비스 기업의 테크 블로그를 읽고 정리한 글이다. 나는 배민 운영사인 우아한형제들의 기술블로그 '우아한기술블로그'에서 PM 관련 글들을 읽었다. 그 중 인상 깊었던 두 글에 대해 정리해보았다. 1. 배민 CMS 슬롯화 프로젝트 콘텐츠 브로드캐스팅이 가능한 CMS 만들기: 배민외식업광장 슬롯화 | 우아한형제들 기술블로그2022년 10월,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은 3개월간에 걸친 CMS(Content Management System) 슬롯화 프로젝트를 오픈했습니다. CMS 슬롯화가 어떤 프로젝트인지 또, 배민외식업광장은 앞으로 CMS를 어떻게 발전시techblog.woowahan.com  프로젝트 배경배민외식업광장은 사장님들이 창업과 운영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는 다양한 콘텐츠를 제..

기획 2024.0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