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우아한기술블로그를 읽고

xeaxonx 2024. 8. 3. 20:23

이번 글은 서비스 기업의 테크 블로그를 읽고 정리한 글이다. 나는 배민 운영사인 우아한형제들의 기술블로그 '우아한기술블로그'에서 PM 관련 글들을 읽었다. 그 중 인상 깊었던 두 글에 대해 정리해보았다.

 

1. 배민 CMS 슬롯화 프로젝트

 

콘텐츠 브로드캐스팅이 가능한 CMS 만들기: 배민외식업광장 슬롯화 | 우아한형제들 기술블로그

2022년 10월,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은 3개월간에 걸친 CMS(Content Management System) 슬롯화 프로젝트를 오픈했습니다. CMS 슬롯화가 어떤 프로젝트인지 또, 배민외식업광장은 앞으로 CMS를 어떻게 발전시

techblog.woowahan.com

 

 

프로젝트 배경

배민외식업광장은 사장님들이 창업과 운영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는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는데, 아무리 콘텐츠가 많아도 사장님의 눈에 띄지 않으면 아무 소용이 없어진다. 이러한 문제점에서 고안된 것이 CMS 슬롯화 프로젝트이다.

 

프로젝트 과정

1. 슬롯화 개념 도입 배경

- 배민외식업광장의 콘텐츠는 하나의 판으로 구성되어 있어 위치 변경이나 디자인 적용에 어려움이 있었다.

- 콘텐츠 노출을 위한 배포 과정이 필요해 다양한 시도를 하기 어려웠다.

 

2. 슬롯화 개념 도입

- 콘텐츠 영역을 슬롯으로 나누어 각 슬롯의 위치, 디자인, 콘텐츠를 쉽게 변경할 수 있도록 구조를 재편했다.

- 슬롯을 이용해 콘텐츠 노출 방식을 자동화하고, 사장님들에게 적합한 콘텐츠를 제공했다.

 

모바일과 PC 각각에 맞는 슬롯 위치 및 노출 개수 제어, 디자인 변경을 쉽게 할 수 있는 모듈화, 콘텐츠 운영 자동화, 즉시 적용이 가능한 시스템 구축을 통해 기존의 단점을 해결했다.

 

3. 실제 적용 및 성과

- 프로젝트를 통해 콘텐츠 노출과 디자인 변경이 자유로워졌다.

- 콘텐츠 운영에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단축시켰다.

- 운영자들이 메인 영역을 쉽게 관리할 수 있게 되었다.

- 슬롯화 구조 덕분에 문제 발생 시 빠르게 대응할 수 있다.

 

나의 소견

이 프로젝트는 사용자 경험을 극대화하고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대성공한 것 같다. 배민에서 사장님들을 위해 이러한 콘텐츠들을 제공한다는 것도 이번 기회에 알게 되었다. 모듈화를 하면 콘텐츠 내용만 변경하면 되므로 시간 절약과 효율성이 높아진다. 기획과는 다른 얘기긴 하지만 윗 글을 읽고, 프론트엔드 프레임워크인 리액트를 쓸 때 모듈화된 컴포넌트를 사용할 수 있어서 편리했던 경험이 떠올랐다. 모듈화의 중요성을 다시금 느끼게 되었다.


2. 배민 회원가입/로그인 절차 간소화

 

가입은 쉽게, 로그인은 실패 없이! 휴대폰번호로 계속하기 | 우아한형제들 기술블로그

회원 가입을 하려다 귀찮아서 포기한 적 있으신가요? 로그인 비밀번호를 잊어버려서 답답한 적 있으신가요? 배민에는 이메일, 카카오, 네이버, 페이스북 로그인을 비롯해 다양한 가입/로그인 수

techblog.woowahan.com

 

 

프로젝트 배경

배민은 사용자들이 이메일을 통해 회원 가입/로그인을 시도할 때 높은 이탈률과 로그인 실패율을 경험했다. 그 원인은 이메일 가입의 복잡한 절차와 비밀번호 기억의 어려움에 있었다. 이메일 가입을 시도하는 사용자 중 60%가 가입을 포기하고, 비밀번호를 잊어버리는 사용자들이 많아 로그인 시도 실패율이 높았던 것이다.

 

프로젝트 과정

1. 휴대폰번호 가입 도입 배경

이메일 가입 과정에서 발생하는 단계별 이탈률을 분석하고, 로그인 실패 로그와 대안 로그인 성공 로그를 검토한 결과, 본인인증 과정과 이메일 인증 과정에서 가장 많은 이탈이 발생했다. 그래서 본인인증에서 이탈을 줄이고, 정보 입력 절차를 최대한 간소화할 수 있는 새로운 가입/로그인 방식이 제안되었다. 

 

 

2. 휴대폰번호 가입 도입

- 이메일(=아이디) 입력 생략

- 비밀번호 입력 생략

- 닉네임 입력 생략

- 법적으로 필수적인 약관 동의와 본인인증만 유지

정보 입력이 많았던 기존 가입 방식과 다르게 최소한의 본인인증만을 유지하는 방식으로 간소화되었다. 사용자가 자신의 이름, 생년월일, 휴대폰번호만 기억한다면 로그인에 실패할 일도 없어졌다.

 

그러나 당연하게도 새로운 방식에 대한 리스크 또한 따랐다.

 

- 본인인증 비용이 증가한다.

- 비마트, 배민스토어에서 이메일이 필수인데 주문 과정에서 이메일을 수집해야 하는 사용성 문제가 생긴다.

 

위의 리스크에 대해서는 휴대폰번호로 가입 시 본인인증 후 이메일을 추가로 작성하도록 하여 문제를 해결했다. 필수적으로 이메일을 받으면서, 로그인 시에는 가입 당시의 이메일과 비밀번호를 기억하지 않아도 되도록 만든 것이다.

 

3. 실제 적용 및 성과

- 가입 전환율이 30%대에서 70%대로 증가했다.

- 가입 소요시간이 기존보다 절반으로 단축되었다.

- 로그인 실패율은 48% 감소, 계정 찾기 시도는 35% 감소했다.

 

나의 소견

배민의 이러한 변화는 매우 혁신적으로 다가왔다. 사이트마다 요구하는 비밀번호 제약 조건이 다르고, 일부 사이트는 아이디로 로그인하라고 하지만 나중에 아이디 찾기를 해봤더니 이메일로 가입한 사례도 있었다. 로그인을 실패할 때마다 아이디 찾기와 비밀번호 찾기를 반복하는 경험이 많았는데, 이러한 과정은 시간 소모적일 뿐만 아니라 사용자 경험을 크게 저해하는 요소이다.

배민의 사례는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 설계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잘 보여준다. 비밀번호를 잊어버려 로그인을 실패하는 사용자의 불편을 줄이고, 가입 절차를 간소화하여 더 많은 사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하게 만드는 전략은 매우 효과적이다. 아무래도 사이드 프로젝트를 할 때 이렇게 본인인증을 도입하는 것은 어려워 보이지만, 이탈률이 적은 로그인 방법을 생각해보는 것은 매우 중요한 것 같다. 사용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로그인 방식을 구현하면, 사용자 유지율이 높아지고 서비스의 성공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이다. 당장 나만 봐도, 새로운 사이트 회원가입을 할 때 소셜 로그인 옵션이 있으면 괜히 더 반갑고 가입절차가 덜 번거로울 거라는 생각에 안심이 된다. 평소에 기획을 할 때 로그인 방식에 대해서는 크게 생각해 본 적이 없었는데 이번 기회에 중요성을 알게 된 것 같다.

 

 

'기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스의 UX 리서치  (0) 2024.11.19
졸업프로젝트 초반부의 고민  (1) 2024.11.05
UML에 대하여  (0) 2024.10.16
프로젝트 후반부를 달리며  (0) 2024.08.12
서비스 기획에 필요한 것들  (0) 2024.07.20